본문 바로가기

한국영화

상처의 연대, '폴란드로 간 아이들' 인간이 인간에 대한 사랑이 있었다. 추상미 감독은 이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것같다. . 폴란드로 가야만 했던 북한의 전쟁고아들의 흔적을 따라가는 다큐멘터리 ‘폴란드로 간 아이들’. 전쟁의 비극속에 피었던 사랑은 자칫 신파가 되기 쉬운데, 그 경계선을 잘 지킨 감독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다. 사실, 추상미감독의 내레이션처럼 이 다큐멘터리는 ‘폴란드로 갔던 아이들’에 대한 흔적을 찾는게 목적이 아니었던것같다. 인간이 인간에 대해 베풀었던 사랑, 그 엄혹했던 시절에 위대했던 사람들의 마음, 그 사랑의 바탕이 무엇인지에 대해 감독은 상처의 연대감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한국전쟁으로 인해 버려진 전쟁고아들의 상처, 독일점령의 상처를 가지고 있는 폴란드 교사들, 탈북청소년들이 지니고 있어야 하는 상처들, 그리고 출연자.. 더보기
영화, 남한산성 1. 병자호란은 국제정세에 적응하지 못했던 무능했지만 예견됐던 한 시대의 비극을 다룬 영화이다. 광해군을 몰아내고 자신들이 다루기 좋은 인조를 세운 조정은 그로인해 국제정세의 변화에 대응을 하지 못하고 우리 역사에 가장 굴욕적인 비극을 맞이한다. 남한산성은 그 비극의 한복판에 있었던 무대였다. 2. 영화를 이끌어 가는 축은 두 인물 척화파 김상헌, 주화파 최명길이다. 두 캐릭터가 이 영화를 이끌어 가는 축이다. 이것을 하나 더 확대하면 임금인 인조가 세 축을 이룬다. 척화도 옳고, 주화도 옳아 보이는 상황에서 리더인 인조가 보이는 무능함이 세개의 축이다. 자신들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세웠던 임금이 보여주는 유약함과 무능함. 그 축을 하나더 확장하면 사리사욕에 눈먼 부패한 정치무리들까지. 하지만, 어느것 .. 더보기